바움커플러® Customized type
제품개요
특징
- PLC의 제어에 최적
- 은합금 접점 방식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안정적인 전송이 가능합니다.
접점 구리스를 도포함으로써 노이즈의 발생원인이 되는 마모가루가 날리기 어려운 방식이므로 PLC 등을 사용하는 제어에 적합 합니다. - 모터 전원과 제어신호를 동시에 전송
- 현장의 공간, 환경, 전원 사양 등에 맞춰 제작합니다.
대용량 모터의 전원과 미약한 아날로그 제어 신호의 조합도 가능합니다. - 전류 100A까지 대응 가능
- 1링 10A까지 지원.
여러 회로를 병렬 사용 함으로써 전류 100A에도 대응 할 수 있습니다. - 내구 2000만회전을 실현
- 은합금 접점 방식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유지보수 없이 100만 회전까지 사용 할 수 있습니다.
또한 100만 회전마다 접점 구리스를 도포 하시면 2000만 회전까지 사용 할 수 있습니다. - 내환경 사양에도 대응
- 보호 구조는 현장의 환경에 따라 설계합니다. IP65 보호 등급까지 지원합니다.
또한 보호 커버의 재질을 스테인레스 스틸로 변경 할 수 있습니다. 방수성, 내약품성이 뛰어난 구조 입니다.
- CC-Link에 대응
- CC-Link대응 제품도 있습니다.

제품의 소개
- 드럼타입 (3TB)
- 기존 카본 브러시 방식의 슬립 링처럼 길쭉한 드럼타입니다. 각 회로의 전기적 특성을 동일하게 할 수 있습니다.
- 소형 타입
- 손바닥 크기의 소형 타입에도 대응 가능 합니다.
요청에 따라 최소 크기로 설계 합니다.
- 다극 타입 (3TA)
- 디스크 판을 여러 개 두는 것으로 100점 이상 사양에서 상대적으로 축 방향 컴팩트한 다극 타입(100회로 이상)에 대응 할 수 있습니다.
- 내환경 타입
- 부식을 막기위해 스테인레스 스틸 커버로 내환경성을 높였습니다. IP67 등급을 실현하고 밀폐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열악한 환경에서 사용 할 수 있습니다.
- 장착 타입
- 공간도 설치 방법도 기존 장비에 장착 가능하게 설계합니다.
소개 한 타입 이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제품을 맞춤형으로 제작합니다.
타사와의 비교
항목 | 사양 | 비고 | ||
---|---|---|---|---|
메이커(상품명) | NSD (바움커플러) |
타사A | 타사B | - |
접점재질 | 은합금 | 카본 브러시 | 수은 | - |
컴팩트성 | △ | × | ○ | 카본 타입과 비교하면 스러스트 방향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. |
극수 | ◎ | △ | × | 수은은 8극정도가 한계이지만 바움커플러는 800극까지 가능합니다. |
미소전류・전압 | ◎ | × | ◎ | 시리얼 통신, 열전대, 로드셀 등의 신호선도 실적이 있습니다. |
대전류 | △ | ◎ | × | 바움커플러는 100A의 실적이 있습니다. |
고속회전 | △ | ○ |
○ |
100rpm, 300rpm (수은은3000rpm이 가능) |
유지보수 | ○ |
× | ○ |
바움커플러는 100만 회전까지 유지보수 필요없음 |
커스터마이징 | ◎ | ○ |
× | 한대라도 대응 가능 |
은합금 접점 방식에 의한 탈 노이즈 내구성 2000만회
슬립링은 브러시의 접촉에서 발생하는 마모가루가 노이즈의 원인입니다.
접촉 면적이 넓을수록 면과 면사이에 마모 가루가 들어가 노이즈가 발생하기 쉬워집니다.
NSD 독자적인 「은합금 접점 방식」에서 접촉면을 특수 은 합금함으로서 마모 가루의 발생을 억제하고 있습니다.
또한 굳이 접점방식을 채용함으로써 마모 분을 밖으로 빼내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.
이 방식으로 사내 테스트로 유지 보수 없이 100만회전까지 소음을 발생시키지 않고 사용 할 수 있다는 결과가 나와 있습니다. 또한 정기적으로 점접 구리스 처리함으로써 2000만회전까지 소음을 발생시키지 않고 사용 할 수 있습니다. (접점 윤활제가 마르지 않을 것)
어플리케이션
충전기
각 종 밸브의 구동 전원과 구동 신호를 동시에 전송 할 수 있습니다.
다중 신호 전송에 최적입니다.
다중 신호 전송에 최적입니다.
케이블 릴
기존의 카본 브러시 방식으로는 오일 미스트 등의 영향으로 접촉 불량이 생길 수 있습니다.
바움 커플러는 은합금 점접 방식을 채택하여 접속 불량을 방지 할 수 있습니다.
바움 커플러는 은합금 점접 방식을 채택하여 접속 불량을 방지 할 수 있습니다.
터렛
급지기에는 텐션을 컨트롤 하기 위해 서보 모터를 사용이 증가하고 있습니다.
기존에는 대전류의 모터용 전원과 피드백용 제어신호를 동시에 확실하게 전송하는 것이 어려웠습니다.
바움커플러에서는 이 용도에서도 유지 보수 없이 사용 할 수 있습니다.
